-
옴의 법칙보고서 및 정보/공학계열 2017. 1. 16. 18:50
옴의 법칙
1.실험목적
-옴의 법칙을 공부하고 응용한다. 특히 저항 양단의 전위차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 전압이 일정할 때 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 전류가 일정할 때 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압의 변화 등을 관찰한다.
-단순회로에서 전류, 전압, 저항사이의 수학적 관계를 비교한다.
-전구의 저항에 작용하는 전류와 전압을 비교한다.
2.관련이론
:옴의 법칙
-도체에 전압이 가해지면 이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가해진 전압에 비례한다.(
) 이때의 비례상수를1/R 로 놓았을 때 R을 그 도체의 전기저항이라 한다. 즉 전기저항 R 은 V/I 로 나타내며 단위는 Ω의 기호를 쓴다. 도선을 파이프라 생각했을 때 전압은 수압에 전류는 단위시간당 흐르는 물의 양에, 저항은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물체로 비유할 수 있다.
3.전압계, 전류계
(옆에서 본 단면)
전압계, 전류계 모두 도선과 연결할 때에 양극과 음극을 정확히 연결해야한다. 반대로 연결할시 고장의 위험이 있다. 가동 코일 형 전압계와 전류계의 눈금을 표시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직류전원일 경우 사용하는 기기) 마치 전동기의 원리와 같이 균일한 자기장 B에서 전류 I가 흐르는 도선 고리는 위로의 힘을 받고 반대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힘을 받아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코일이 회전한 뒤에 영점으로 돌아와야 하므로 나선형 스프링을 이용해 제자리로 돌아오게 만든다.
1)전압계
전압계는 전위차를 알고 싶은 저항과 병렬연결 한다. 이 때 전압계의 저항은 클수록 좋다. 전압계의 저항을 R, 도선에 연결된 저항을 r이라하면 병렬연결 시의 도선전체의 저항은
이 되어 R값이 커질수록 전체 저항 값이 r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2)전류계
전류계는 도선의 저항과 직렬연결 한다. 이 때 전류계의 저항은 0에 가까운 것이 좋다. 전류계의 저항을 R, 도선에 연결된 저항을 r 이라하면 직렬연결 시의 도선전체의 저항은 R+r 이 되어 전류계의 저항이 작을수록 도선전체의 저항이 r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